-
- 로그인
- 회원가입

최신의 마켓정보, 정책정보, 행사정보, 인사정보를
매주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행사명: 2022 해양수산 전망대회
• 일시: 2022. 1. 19. / 13:30~17:00
• 방법: 온라인
• 주제: 해양수산 미래비전과 과제
• 주최/주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부문별전망> 해조류 동향 및 2022년 전망 – 이기영 팀장(KMI수산업관측센터) – 발표자료 첨부
▶ 2021 해조류 수급 동향
• 생산량: 179만 9,000톤(전년 대비 2.1% 증가)
• 생산금액: 6,973억 원(전년 대비 7.9% 감소)
구분 |
양식종 |
양식생산량 |
수출량 |
산지가격 |
해조류 |
김 |
1억 5,068만 속 전년 대비 4.1% 증가 _ 전년 생산 부진 영향, 상대적 증가 |
7,674만 속 전년 대비 14.8% 증가 _ 코로나 불구, 수요 지속 _ 역대 최고 수출실적 갱신 |
kg당 1,231원 전년 대비 13.1% 상승 _ 상반기 생산 조기 종료 _ 하반기 생산 부진 |
미역 |
56만 5,884톤 전년 대비 12.8% 증가 _ 상반기 작황 양호 |
8만 9,229톤 전년 대비 26.4% 감소 _ 코로나 영향, 일본 등 주수출대상국 수요 감소 _ 중국 등 임가공용 수요 감소 |
kg당 737원 전년 대비 132.8% 상승 _ 하반기 생산 부진 |
▶ 2022 해조류 수급 전망
• 생산량: 181만 톤(전년 대비 0.7% 증가)
• 생산금액: 7,173억 원(전년 대비 2.9% 상승)
구분 |
양식종 |
양식생산량 |
수출량 |
산지가격 |
해조류 |
김 |
전년 대비 증가 _ 시설량 증가 |
전년 대비 증가 _ 수출 호조세 지속 _ 주요 수출대상국 수출량 증가 |
전년 대비 하락 _ 생산량 증가 _ 품질 하락 _ 국내 소비 정체 |
미역 |
전년 대비 감소 _ 작황 부진 |
전년 대비 보합 _ 일본, 한국산 수요 감소 _ 중국, 임가공용 수요 감소 |
전년 대비 보합 _ 생산량 감소하나, 품질 하락+국내 소비 정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