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그인
- 회원가입

최신의 마켓정보, 정책정보, 행사정보, 인사정보를
매주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행사명: 2022 해양수산 전망대회
• 일시: 2022. 1. 19. / 13:30~17:00
• 방법: 온라인
• 주제: 해양수산 미래비전과 과제
• 주최/주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부문별전망> 패류 동향 및 2022년 전망 – 허수진 팀장(KMI수산업관측센터) – 발표자료 첨부
▶ 2021 패류 수급 동향
• 생산량: 43만 1,000톤(전년 대비 3.9% 증가)
• 생산금액: 1조 220억 원(전년 대비 2.1% 증가)
구분 |
양식종 |
양식생산량 |
수출량 |
산지가격 |
패류 |
전복 |
2만 3,157톤 전년 대비 16.3% 증가 _ 시설량 증가 _ 생존율 증가 |
2,300톤 전년 대비 13% 증가 - 코로나19로 인한 수출 물류 및 소비 여건 개선 |
큰크기: 전년 대비 5.7% 상승 작은크기: 전년 대비 9.9% 하락 _ 큰크기: 비대면 선물용 수요 증가 _ 작은크기: 음식점 수요 감소 |
굴 |
3만 818톤 전년 대비 4.2% 감소 _ 어기 초 이상 해황 및 태풍으로 폐사 발생 |
수출량: 1만 5,676톤 전년 대비 9% 증가 _ 신선냉장 제외한 모든 제품 증가 |
kg당 7,993원 전년 대비 17.4% 상승 _ 어기 초 작황 부진 |
▶ 2022 패류 수급 전망
• 생산량: 42만 7,000톤(전년 대비 1.0% 감소)
• 생산금액: 1조 550억 원(전년 대비 3.2% 증가)
구분 |
양식종 |
양식생산량 |
수출량 |
산지가격 |
패류 |
전복 |
2만 3,700톤 전년 대비 소폭 증가 _ 생존율 증가
|
2,500톤 전년 대비 증가 _ 일본 소비 회복 _ 베트남, 미국, 대만 등 신흥국 수요 증가 |
kg당 3만 8,000~4만 원 전년 대비 상승 _ 비대면 소비 정착→큰크기 수요 증가 |
굴 |
2만 9,000톤 전년 대비 감소 _ 폐사율 증가 _ 채취가능물량 감소 |
전년 대비 5% 감소 _ 어기 초 수출물량 확보 곤란 _ 박신비용 상승→가공품 원가상승 |
kg당 8,400원 전년 대비 상승 _ 출하량 감소 _ 코로나 여파, 박신인력 수급 차질 지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