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그인
- 회원가입

최신의 마켓정보, 정책정보, 행사정보, 인사정보를
매주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해양수산부가 해양 탄소흡수원인 '블루카본'을 통해 탄소흡수력 및 기후재해 대응능력 강화에 나선다. 이를 위해 양식기술을 보유한 어업인이 탄소흡수를 위한 해조류 조성에 참여하는 '해양생태계서비스지불제'를 도입하고, 해양 탄소흡수원 외부사업 체계 및 지원·관리방안을 마련, 지자체와 민간의 외부사업 진입장벽을 완화한다.
* 해양생태계서비스지불제: 생태계서비스 유지∙증진에 대한 공익활동을 지원하는 제도로, 민간-정부(지자체) 간 생태계 유지∙증진에 관한 사전 계약을 체결하고 민간의 성과에 따라 계약금 지급
해수부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블루카본 추진전략'을 5월 31일 '제23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했다.
해양수산부는 5월 31일 블루카본을 통해 탄소흡수력 및 기후재해 대응능력을 강화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블루카본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해양수산부2023
'블루카본'은 해양생물 등 해양생태계의 탄소흡수원으로, 갈대∙칠면초 등 염생식물과 갯벌, 잘피 등을 포함한다. 블루카본에 대한 과학적 연구 및 정책은 육상 탄소흡수원에 비해 초기 단계이지만, 국제사회는 탄소중립 및 기후위기 대응에 있어 블루카본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해수부는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및 2050 탄소중립 로드맵 목표를 차질없이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블루카본 추진전략'을 수립했다.
* (2021년 기준) 2030 NDC(해양탄소흡수 106.6만 톤), 2050 탄소중립 로드맵(136.2만 톤) 수립
'블루카본 추진전략'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추진전략 |
추진과제 |
해양의 탄소흡수력 및 기후재해 대응능력 강화 |
• 해양 식생 조성 통해 탄소흡수 강화 • 신규 블루카본의 선제적 보호·복원 _ 폐염전∙폐양식장 및 방치된 간척지 등에 해수를 유통해 갯벌로 복원 • '숨쉬는 해안 뉴딜' 통해 기후재해 대응 강화 |
민간∙지역∙국제협력 등 블루카본 조성 참여 확대 |
• 기업의 ESG 경영 연계 • 어업인·지자체 참여 기반 마련 _ 어업인: 해양생태계서비스지불제 도입 _ 지자체: 해양 탄소흡수원 체계 및 자원∙관리방안 마련 • 국제감축 통한 국외 탄소흡수량 확보 |
신규 블루카본 인증 및 장기 추진 기반 마련 |
• 신규 블루카본 인증 가속화 • 해역별 연구거점 인프라 조성 • 인벤토리 등 데이터 고도화 |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고]
<자료출처: 해양수산부 보도자료(바로가기 클릭!), 2023.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