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그인
- 회원가입

최신의 마켓정보, 정책정보, 행사정보, 인사정보를
매주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통계청의 '2024년 어업생산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4년 어업생산량은 361만 톤으로 전년 대비 2.2% 감소한 반면, 어업생산금액은 10조 918억 원으로 6.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생산량: 2023년 369만 1,000톤→2024년 361만 톤(전년 대비 2.2% 감소)
• 생산금액: 2023년 9조 4,369억 원→2024년 10조 918억 원(전년 대비 6.9% 증가)
이 가운데 2024년 해면양식업 생산량은 224만 9,000톤으로 전년 대비 1.6% 감소했으나, 생산금액은 3조 7,118억 원으로 16.6% 대폭 증가했다.
• 생산량: 2023년 228만 5,000톤→2024년 224만 9,000톤(전년 대비 1.6% 감소)
• 생산금액: 2023년 3조 1,838억 원→2024년 3조 7,118억 원(전년 대비 16.6% 증가)
지난해 국내외 김 수요가 크게 증가하면서 공급이 이를 따라가지 못해 김 산지가격이 전년 대비 약 2배 상승한 데다, 여름철 역대급 고수온 피해로 넙치, 조피볼락 등의 육성물량이 줄어 산지가격이 상승하면서 전체 해면양식업 생산량 감소에도 불구, 생산금액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총 어업생산량 중 해면양식업 비중은 62.3%로 전년 대비 0.4%p 증가했다. 총 어업생산금액 중 해면양식업 비중 또한 36.8%로 전년 대비 3.1%p 증가했다.
2024년 해면양식업 생산량 감소에도 불구, 김, 넙치, 조피볼락 등의 산지가격 상승에 힘입어 생산금액이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남도2024
그림 1. 해면양식업 생산량, 생산금액 추이 – 2015~2024년(단위: 톤, 백만 원)
※ 자료출처: 통계청 보도자료, 2025. 2. 21., 그래픽: 아쿠아인포
해면양식업 생산량 추이2024
2024년 해면양식업 생산량은 224만 9,000톤으로 전년(228만 5,000톤) 및 최근 5년 평균(233만 6,000톤) 대비 각각 1.6%, 3.7% 감소했다.
주요 양식대상종별로는 전년 대비 ►흰다리새우, 김류, 조피볼락, 넙치류 증가 ►전복류,굴류 등은 감소했다.
특히 흰다리새우 양식생산량이 전년 대비 10.2% 크게 증가했다. 2022년과 2023년 2년 연속 새우 급성간췌장괴사병(AHPND) 등 각종 질병 발생으로 양식생산량이 감소세를 보였으나, 지난해의 경우 내병성 치하 입식 등의 영향으로 질병 발생률이 크게 줄어들면서 새우 양식생산량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김 양식생산량은 전년 대비 3.2% 증가했다. 김은 양식생산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주변국 생산 부진과 세계적인 K-김 인지도 상승 등 수출 수요 증가로 생산금액이 대폭 상승했다.
조피볼락과 넙치류 양식생산량은 전년 대비 각각 0.6%, 0.1% 소폭 증가했다.
넙치는 타 횟감용 활어 대비 고수온 피해가 적어 여름철 출하량이 일시적으로 증가하기도 했으나, 겨울철에는 출하량이 감소해 전년 수준의 양식생산량을 보였다.
조피볼락은 주요 산지에서 여름철 고수온으로 대량 폐사가 발생했으나, 상반기 출하량이 많아 전년과 비슷한 양식생산량을 기록했다.
굴 양식생산량은 전년 대비 0.2% 소폭 감소했다. 다만 고수온, 빈산소수괴 등의 영향으로 굴 생산성이 좋지 않아 시설간격 조절을 통해 양식규모를 줄였고, 일부 양식업체에서는 수익 저하 등의 이유로 양식품목을 가리비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다.
전복은 소비 둔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여름철 고수온 피해까지 겹치면서 양식생산량이 전년보다 3.2% 감소했다.
해면양식업 생산금액 추이2024
2024년 해면양식업 생산금액은 3조 7,118억 원으로 전년(3조 1,838억 원) 및 최근 5년 평균(3조 1,054억 원) 대비 각각 16.6%, 19.5% 대폭 증가했다.
주요 양식대상종별로는 ►김류, 조피볼락, 넙치류 증가 ►전복류, 굴류, 흰다리새우 등은 감소했다.
김류 생산금액이 전년 대비 무려 90.3% 급증했다. 지난해 국내외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양식생산량이 3.2% 증가했음에도, 공급이 이를 따라가지 못해 생산금액이 전년 대비 두 배 가까이 상승했다.
조피볼락, 넙치류 생산금액은 전년 대비 각각 8.1%, 5.4% 증가했다.
전복류와 굴류는 소비둔화에 따른 산지가격 하락 여파로 생산금액이 전년 대비 각각 10%, 9.1% 감소했다. 지난해 전복류 산지가격은 kg당 2만 824원으로 전년(2만 2,400원)에 이어 추가 하락하며, 2만 원대를 겨우 유지하는데 그쳤다. kg당 3만 원을 웃돌던 전복 산지가격이 2023년, 2024년 2년 연속 2만 원 초반대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표 1 참고>.
흰다리새우는 양식생산량이 전년 대비 10.2% 증가했음에도 불구, 생산금액이 2.6% 감소했다. 이에 2022년, 2023년 2년 연속 질병 발생으로 인한 양식생산량 감소로 상승세를 보이던 새우 산지가격이 kg당 1만 6,757원으로 하락했다.
표 1. 주요 양식대상종별 산지가격 추이 – 2015~2024년
어종 | 구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10년(2015~2024) 평균 |
넙 치 류 | 생산량(톤) | 45,759 | 41,620 | 41,207 | 37,241 | 43,360 | 43,813 | 41,776 | 45,827 | 40,089 | 40,125 | |
생산금액(백만 원) | 504,182 | 534,130 | 584,138 | 495,391 | 430,809 | 539,218 | 661,958 | 702,678 | 648,918 | 684,235 | ||
산지가격(원/kg) | 11,018 | 12,833 | 14,176 | 13,302 | 9,936 | 12,307 | 15,845 | 15,333 | 16,187 | 17,053 | 13,799 | |
조피볼락 | 생산량(톤) | 18,774 | 18,032 | 22,344 | 22,702 | 20,348 | 21,568 | 17,473 | 16,189 | 14,430 | 14,513 | |
생산금액(백만 원) | 186,053 | 159,483 | 171,191 | 192,508 | 155,473 | 171,182 | 219,308 | 201,103 | 146,330 | 158,125 | ||
산지가격(원/kg) | 9,910 | 8,844 | 7,662 | 8,480 | 7,641 | 7,937 | 12,551 | 12,422 | 10,141 | 10,895 | 9,648 | |
흰다리새우 | 생산량(톤) | 5,515 | 5,791 | 5,144 | 5,492 | 7,542 | 8,124 | 9,545 | 9,504 | 7,047 | 7,766 | |
생산금액(백만 원) | 83,653 | 93,525 | 99,595 | 95,691 | 105,447 | 139,247 | 153,787 | 168,326 | 133,560 | 130,137 | ||
산지가격(원/kg) | 15,168 | 16,150 | 19,361 | 17,424 | 13,981 | 17,140 | 16,112 | 17,711 | 18,953 | 16,757 | 16,876 | |
굴 류 | 생산량(톤) | 265,146 | 268,841 | 315,255 | 303,183 | 326,190 | 300,084 | 305,914 | 310,483 | 310,753 | 310,076 | |
생산금액(백만 원) | 182,753 | 172,700 | 214,515 | 211,230 | 228,788 | 263,487 | 277,347 | 306,533 | 302,275 | 274,875 | ||
산지가격(원/kg) | 689 | 642 | 680 | 697 | 701 | 878 | 907 | 980 | 973 | 886 | 803 | |
전 복 류 | 생산량(톤) | 10,090 | 12,342 | 16,027 | 20,053 | 18,436 | 20,059 | 23,199 | 22,078 | 24,126 | 23,352 | |
생산금액(백만 원) | 324,670 | 347,395 | 577,368 | 607,142 | 591,855 | 610,340 | 694,243 | 678,606 | 540,422 | 486,291 | ||
산지가격(원/kg) | 32,177 | 28,147 | 36,025 | 30,277 | 32,103 | 30,427 | 29,926 | 30,737 | 22,400 | 20,824 | 29,304 | |
김 류 | 생산량(톤) | 386,646 | 409,408 | 523,648 | 567,162 | 605,767 | 536,127 | 547,413 | 550,221 | 534,390 | 551,516 | |
생산금액(백만 원) | 314,967 | 446,950 | 617,507 | 572,365 | 560,584 | 508,324 | 474,852 | 469,477 | 632,388 | 1,203,691 | ||
산지가격(원/kg) | 815 | 1,092 | 1,179 | 1,009 | 925 | 948 | 867 | 853 | 1,183 | 2,183 | 1,105 |
해면양식업 생산량 전망2025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올해 해면 양식생산량이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 등 해조류 양식생산량이 전년 대비 증가하는 가운데, 어류, 갑각류, 패류, 기타수산동물(멍게, 오만둥이, 미더덕 등)의 경우 소폭 감소하거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1년 이상 다년간 양식생산하는 패류와 어류의 경우 지난해 여름철 고수온 피해 여파가 있을 것으로 보여, 양식생산량이 소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해양수산부는 양식수산물 수급관리를 위해
►수산관측 실시 → 신속한 정보제공
►자조금 지원 → 생산자단체의 자율적인 적정생산 지원
►신규 양식종 개발, 스마트양식장 확대, 재해 대응체계 강화 → 기후변화 대비 안정적 양식수산물 공급 지원
► 굴, 전복 등 고부가가치화&수출시장 확대
등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고]
<자료출처>
•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2025. 3. 5.
• 통계청 보도자료, 2025. 2. 21.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정보 KMI총서 '2025 해양수산 전략리포트', 2025. 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