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신청 신청 아이콘
뉴스레터를 신청하시면
최신의 마켓정보, 정책정보, 행사정보, 인사정보를
매주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1. 우측 버튼을 클릭하여 신청해 주세요. 뉴스레터 신청
2. 신청서 항목에 따라 신청자의 정보를 입력 및 체크하시면 됩니다.
3. 기타 필요사항문의
E-mail: aquainfo@aquainfo.co.kr / Tel: 02-774-7751
닫기
[NL609] 보급형 무지개송어 RAS모델 개발∙산업화 – 수과원
작성자 아쿠아인포 등록일 2025.01.06

국립수산과학원은 친환경적인 내수면 양식산업 발전을 위해 보급형 무지개송어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RAS) 모델을 개발, (사)한국송어양식협회에 보급했다.

 

국립수산과학원이 한국송어양식협회에 보급형 무지개송어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 모델 2종을 개발 및 보급했다(사진은 보급형 무지개송어 순환여과식 양식장 모델 3D 도면 8각형 사육수조(사진 위)와 수로형 사육수조(아래)). ©국립수산과학원2025

 

국내 송어 양식업체는 총 167개소로 연간 약 3,000톤의 송어를 양식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사육수를 한 번 사용하고 배출하는 전통적인 유수식 양식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을 갖춘 양식장은 5%에 불과하다. 때문에 연간 6만 톤 이상 소비되는 수입 연어 시장을 대체하고, 기후변화와 내수면 수자원의 고갈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 보급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수과원은 해외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과 비교해 건설 비용을 낮추고, 국내 양식환경 및 운영방식에 적합한 한국형 모델 개발을 주요 목표로, 2021년부터 보급형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 모델 개발을 추진했다.

 

이를 위해 국내 최초로 고형 오물 제거 자동화, 고효율 유동성 생물여과 및 사육수조의 유속 등 환경조절이 가능한 국산 장비 시제품을 개발, 양식장 자동화 및 스마트화 기반 구축에 필요한 산업화 기술을 현장에 보급했다.

 

(사)한국송어양식협회는 해당 내수면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 모델이 국내 최초로 규격화된 시스템으로, 기존 시스템 대비 건설 면적 20%, 양식장 배출수 침전지 건설 면적(양식장 사육수면적의 30% 이내)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노동력이 부족한 양식현장에 자동화 기반을 마련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수과원은 이번에 보급된 모델 2종은 2022년 (사)한국송어양식협회와 MOU를 체결하고 현장연구실을 운영하며 개발된 성과로 고형 오물 자동 제거 기술 등 특허기술 4건이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수과원은 특허기술 중 특허등록이 완료된 3건에 대해 상반기 중 (사)한국송어양식협회에 기술이전을 추진할 계획이다. 1건은 지난해 11월 특허청에 특허출원을 마친 상태다.

 

<자료출처: 국립수산과학원 보도자료, 2025. 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