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그인
- 회원가입

최신의 마켓정보, 정책정보, 행사정보, 인사정보를
매주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해외 양식선진국을 중심으로 어류 복지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제도 도입과 정책적 논의를 진행하는 등 어류 복지 문제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도 양식장 내 어류 복지 개념 도입을 통해 고품질의 안전한 양식어류를 생산함으로써 소비자의 높아진 요구에 부응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K-블루푸드로 성장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최근 '양식장 내 어류 복지 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며, 현재 어류 복지에 관한 국내 연구가 전무한 상태로
• 어류 복지 관련 법∙제도 개선
• 어류 복지에 대한 인식개선 및 확대 위한 교육 실시
• 어류 복지형 시범 양식장 운영
• 어류 복지 도입 효과 등에 대한 기초연구 실시
• 어류 복지 인증 및 양식어종별 복지 가이드라인 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양식장 내 어류 복지 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도 양식장 내 어류 복지 개념 도입을 위한 기반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아쿠아인포2023 무단 사용 및 배포 금지
해당 보고서에서 제시한 양식장 내 어류 복지 도입을 위한 단계별 추진방안 및 기대효과를 요약, 소개한다.
▶ 어류 복지 도입을 위한 단계별 추진방안
구분 |
추진방안 |
단기과제 |
• 어류 복지 도입을 위한 관련 법∙제도 정비 |
중기과제 |
• 어류 복지형 양식장 시범 운영 • 양식어종별 가이드라인 개발 |
장기과제 |
• 어류 복지 양식장 인증제도 마련 • 어류 복지 양식의 효과를 증명하는 기초연구 • 어류 복지 적용에 필요한 양식기자재 개발 |
▶ 어류 복지 도입에 따른 기대효과
구분 |
기대효과 |
정책적 측면 |
• 어류 스트레스 및 고통 최소화 → 고품질 어류 생산 기반 구축 • 윤리 및 가치 소비 부응 • 어류를 단순 식재료가 아닌 생명체로 인지 → 사회적 인식 개선 |
경제적 측면 |
• 사육관리 효율 증대 → 생산성 향상 • 국제 수준의 어류 복지 기준 준수 → 수출 경쟁력 확보 |
기술적 측면 |
• 국제적으로 권장하는 어류 복지형 양식모델 제시 → 어류 복지와 사육환경 개선 기여 • 한국형 어류 복지 기술 확보 • 스마트 양식기술에 어류 복지 접목 → 양식산업 혁신 및 양식기술 고도화 |
<자료출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정보 '양식장 내 어류 복지 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 (바로가기 클릭!), 2023. 12.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