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그인
- 회원가입

최신의 마켓정보, 정책정보, 행사정보, 인사정보를
매주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2022년 아시아 새우양식업계는 낮은 출하가격과 질병 다발로 생산량이 감소한 것으로 파악된다.
'월간 아쿠아인포' 2023년 6월호에 소개된 '2022년 아시아 새우양식업 리뷰'에 따르면
2022년 전 세계 새우 양식생산량은 흰다리새우와 블랙타이거새우를 합쳐 약 550만 톤으로 추정된다. 이 중 아시아 지역 새우 양식생산량은 350만 톤으로, 전체의 64%에 달한다.
2022년 아시아 새우양식업계는 낮은 출하가격과 질병 다발로 생산량이 감소했다(사진은 베트남 새우 양식장 전경). ⓒ아쿠아인포2023 무단 사용 및 배포 금지
아시아 새우 양식산업 최근 동향 – 2022년
▶ 인도
구분 |
인도 |
2022년 총 생산량 |
90만 2,525톤 / 전년 대비 3% 감소 |
흰다리새우 |
85만 2,525~86만 7,525톤 |
블랙타이거새우 |
3만 5,000~5만 톤 |
2022년 특이사항 |
• 매우 낮은 출하가격 • 저염분 못 양식장 선호 → 높은 생산비용 |
2023년 전망 |
• 2022년 10~11월 모하 수입량과 새우 수출량 급감 → 1분기 새우 생산량 감소 |
▶ 베트남
구분 |
베트남 |
2022년 총 생산량 |
86만 톤 |
흰다리새우 |
68만 톤 |
블랙타이거새우 |
18만 톤 |
2022년 특이사항 |
• 6월부터 수출량 감소 • 2022년 초 치하 공급량 감소 • 4월 이후 미포자충병(EHP), 흰분변증(WFS) 및 급성간췌장궤사병(AHPND) 발생 • 불리한 기후 등 |
▶ 중국
구분 |
중국 |
2022년 총 생산량 |
80만 톤 |
흰다리새우 |
68만 톤 |
블랙타이거새우 |
12만 톤 |
2022년 특이사항 |
새우 수입량 약 100만 톤: 새우 공급국 → 소비국으로 전환 |
2023년 전망 |
새우 생산량, 양호한 회복세 |
▶ 인도네시아
구분 |
인도네시아 |
2022년 총 생산량 |
44만 5,000톤 |
흰다리새우 |
40만 톤 |
블랙타이거새우 |
4만~5만 톤 |
2022년 특이사항 |
• 질병+낮은 출하가격 → 생산량 감소 • 하반기 작은 크기 새우 수확 선호(가공공장에서 좋은 가격 제시) |
2023년 전망 |
• 흰반점바이러스성질병(WSSV), AHPND, 전염성근괴사증(IMNV) 등 질병 발생 증가 → 새우 생산량, 41만 5,000톤 예상 / 전년 대비 6.7% 감소 |
▶ 태국
구분 |
태국 |
2022년 총 생산량 |
25만 6,832톤 |
흰다리새우 |
24만 1,526톤 |
블랙타이거새우 |
1만 5,306톤 |
2022년 특이사항 |
4분기부터 WSSV 발생, 비정상적으로 오랜 기간 지속 |
▶ 필리핀
구분 |
필리핀 |
2022년 총 생산량 |
6만~6만 5,000톤 |
흰다리새우 |
4만 톤 |
블랙타이거새우 |
3만 3,731톤 |
2022년 특이사항 |
• 산발적인 질병 발생으로 AHPND, WSSV, EHP와 같은 질병과 동시 감염으로 인해 갑작스러운 폐사 발생 • 예측할 수 없는 기상조건의 변화 • 미네랄 불균형을 초래하는 저염분 • 사료비 증가 • 계절에 따른 새우 가격 하락 |
▶ 말레이시아
구분 |
말레이시아 |
2022년 총 생산량 |
4만 9,000톤 |
흰다리새우 |
4만 톤 |
블랙타이거새우 |
9,000톤 |
2022년 특이사항 |
WSSV 등 질병 발생 |
전 세계 새우 양식산업 전망 – 2023년
글로벌 해산물 마케팅 컨퍼런스(GSMC)에 따르면 2023년은 지난 분기의 낮은 입식률을 감안해 새우 양식생산에 있어 어려운 한 해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반기는 새우 가격 변동과 세계 경제에 따라 구매력과 소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내수 소비량이 많은 국가는 수출에 의존하는 국가보다 영향을 덜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 자세한 내용은 '월간 아쿠아인포' 2023년 6월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자료출처: '월간 아쿠아인포' 2023년 6월호, 2023. 6.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