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그인
- 회원가입

최신의 마켓정보, 정책정보, 행사정보, 인사정보를
매주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업관측센터의 '월간 수산관측&이슈' 2023년 1월호에 따르면
올해 주요 양식대상종별 산지가격은 전년 대비
• 넙치 하락세, 조피볼락 하락세
• 뱀장어 상승세, 송어 하락세
• 전복 하락세, 굴 소폭 상승세
• 김 상승세가 예상된다.
KMI 수산업관측센터는 올해 넙치, 조피볼락 산지가격이 전년 대비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완도군2019
▶ 넙치
• 산지가격: 전년 대비 하락 전망
• 상반기: 2022년 12월 말 기준 출하가능물량 많아 하락세 전망
• 하반기: 경기 둔화 영향으로 수요 줄어 하락세 전망
▶ 조피볼락
• 산지가격: 전년 대비 하락 전망
• 2022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산지가격 하락세가 5~6월 종자 입식시기까지 이어질 전망
• 지난해 고수온 및 태풍으로 인한 직접적 피해 적어 출하량 평년 수준 회복 예상되나,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로 하락세 예상
▶ 뱀장어
• 산지가격: 전년 대비 상승 전망
• 육성물량 감소로 출하량 줄어 상승세 전망
• 입식량 평년 수준 보일 경우 경기 부진에 따른 수요 감소로 상승폭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이나, 입식량이 평년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면 상승폭 확대 예상
▶ 송어
• 산지가격: 역대 최고 수준을 보인 전년 상승세 꺾일 전망
• 마리당 300 g 이하 크기의 육성물량이 출하 가능한 크기로 성장 → 공급 여건 개선 전망
• 높은 산지가격 장기간 지속 → 전년에 비해 수요 줄어 하락세 예상
• 전년 대비 하락하나, 이미 상승한 경영비 등의 영향으로 하락폭 제한적일 듯
▶ 전복
• 산지가격: kg당(10마리) 3만 2,000원, 전년 대비 하락 전망
• 경기 둔화로 수요 감소하나, 출하량 증가해 하락세 예상
▶ 굴
• 산지가격: kg당 9,400~9,500원, 전년 대비 1% 상승 전망
• 전년보다 김장이 늦게까지 이어지면서 김장굴 수요 지속+가격이 비싼 작은 크기 굴 위판량 증가+설 명절 수요 증가 → 전년 대비 상승세
• 2월부터 수요 감소+가공용 굴 생산 원활, 하락세 예상
▶ 김
• 산지가격: 전년 대비 상승 전망
• 생산량 감소로 상승세 예상
• 다만, 부대비용 상승, 국외 수요 감소 등 가공 수요 줄어 가격 상승폭 크지 않을 전망
표 1. 주요 양식수산물 수급 전망 – 2023년
구분 | 양식종 | 양식생산량 | 수출/수입량 | 산지가격 |
해면 어류 |
넙치 | 3만 7,300톤 | 수출량: 2,300톤 | 전년 대비 하락 |
전년 대비 0.8% 증가 | 전년 대비 4% 증가 | _ 상반기 출하량 증가, 하락세 | ||
_ 상반기 출하량 증가 | _ 수출가능물량 증가 | _ 하반기 경기 둔화→수요 감소, 하락세 | ||
_ 하반기 출하량 감소 | _ 수출단가 하락 | |||
1만 5,000톤 | 전년 대비 하락 | |||
조피 | 전년 대비 23.3% 증가 | _ 출하량 평년 수준 회복하나, | ||
볼락 | _ 상반기 출하량 증가 | 경기 둔화→수요 감소, 하락세 | ||
_ 하반기 출하량 평년 수준 | ||||
내수면 어류 |
뱀장어 | 전년 대비 감소 | 수입량: 전년 대비 감소 | 전년 대비 상승 |
_ 육성물량 감소 | 주요 수입국 중국의 | _ 출하량 감소 | ||
_ 적체물량 감소 | ||||
_ 실뱀장어 입식량 감소 | ||||
3,100톤 | 수입량: 미미한 수준 | 역대 최고 수준을 보인 전년 대비 하락 | ||
송어 | 전년 대비 3.3% 증가 | _ 2021년 3톤, 2022년 1톤 미만 불과 | _ 공급 여건 개선 | |
_ 2022년 입식량 증가 | _ 연어 수입량 회복세 | _ 수요 감소 | ||
_ 육성상태 양호 | _ 다만, 경영비 상승 등으로 하락폭 제한적 | |||
패류 | 전복 | 2만 4,000톤 | 수출량: 전년 대비 증가 | kg당(10마리) 3만 2,000원 |
전년 대비 10% 증가 | _ 주요 수출국 일본, 수요 회복 | 전년 대비 하락 | ||
_ 해상 가두리 시설량 증가추세 | _ 베트남 등 수출대상국 관광 수요 회복 및 | _ 경기 둔화→수요 감소하나, 출하량 증가 지속 | ||
_ 육성상태 양호 | 자국민 외식 수요 증가 | |||
_ 다만, 저성장∙고물가 현상으로 상승폭 제한적 | ||||
굴 | 3만 2,000톤 | 수출량: 1만 6,000톤 | kg당 9,400~9,500원 | |
전년 대비 11% 증가 | 전년 대비 3% 증가 | 전년 대비 1% 상승 | ||
_ 어기초 육성상태 양호 | _ 국내 굴 생산량 증가 | |||
_ 가공용 굴 생산 원활 | _ 일본, 냉동굴 수요 증가 | |||
_ 다만, 미국, 통조림 제품 수요 감소 | ||||
해조류 | 김 | 1억 4,880만 속 | 수출량: 8,100만 속 | 전년 대비 상승 |
전년 대비 2% 감소 | 전년 대비 감소 | _ 생산량 감소 | ||
_ 시설량 증가에도 불구, | _ 수출가능물량 감소 | _ 다만, 가공 수요 감소→가격 상승폭 크지 않아 | ||
어기초 일반김 생장 부진 | _ 국외 수요 감소→가공 및 수출업체 | |||
_ 3월 이후 평년 수준 회복 | 수출의향 ↓ |
※ 출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업관측센터, '월간 수산관측&이슈' 2023년 1월호
<자료출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업관측센터, '월간 수산관측&이슈' 2023년 1월호(바로가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