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신청 신청 아이콘
뉴스레터를 신청하시면
최신의 마켓정보, 정책정보, 행사정보, 인사정보를
매주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1. 우측 버튼을 클릭하여 신청해 주세요. 뉴스레터 신청
2. 신청서 항목에 따라 신청자의 정보를 입력 및 체크하시면 됩니다.
3. 기타 필요사항문의
E-mail: aquainfo@aquainfo.co.kr / Tel: 02-774-7751
닫기
[NL518] 새우 질병진단 표준물질 개발 등 ‘2022년 10대 우수성과’ 발표 – 수과원
작성자 아쿠아인포 등록일 2023.02.14

국립수산과학원은 새우 질병 진단 표준물질 개발 등 지난 한해 동안 수산업 발전과 현장 애로 해결에 기여한

'2022년 10대 우수성과'를 발표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새우 질병 진단 표준물질 개발 등 '2022년 10대 우수성과'를 발표했다. ⓒ국립수산과학원2023

 

▶ 2022년 10대 우수성과 – 국립수산과학원

분류

연구과제

연구내용 및 기대효과

양식기술

개발

새우 질병 진단

표준물질 개발

 

• '신개념 유전자 진단 표준물질 제작' 원천기술 개발 및 특허등록 

• 8개 새우 질병 진단 표준물질 개발 및 EU 표준실험실 공동연구로

유효성 검증

• 질병 진단 정확도 높이고, 오진 줄여 건강한 새우 양식생산 기여

미역 육상

종자생산

기술개발

 

• 바다 가이식 없이 육상수조에서 미역 종자를 생산하는 기술 개량

• 시험양식 시 가이식 종자보다 활착이 빠르고 바다 환경 적응성 우수

• 고수온·태풍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종자생산 가능, 노동력과

생산비 절감, 생산성 향상 → 미역 양식업체 소득 증대 및 편리성 제고 

고품질

잇바디돌김

생산 안정화

기반 마련

 

• 돌김류 자연개체군 DNA 분석으로 국내 단김 미서식 확인, 고품질

잇바디돌김과 유사한 중국산 단김의 유통 차단을 위한 과학적 근거 마련

• 고품질 잇바디돌김 선제적 무상분양으로 불법종자(단김) 사용 저감

• 고품질 잇바디돌김 신품종 1,648 g 선제적 무상분양으로 267억 원

경제적 효과 창출

토종전복을 찾아내는

AI 기반 유전자 분석

기술개발

•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한 토종전복 분류 기술 확립

• 전복 분류 기술을 활용한 토종전복 생산 기술 협력

가공/유통

기술개발

 

수산식품 물성조절

가공기술 및 신선도

유지 기술개발

• 수산물의 물성조절 가공기술 개발

• 패류의 유통과정 중 신선도 유지기술 개발

• 물성조절 가공기술 및 신선도 유지기술을 적용한 제품 출시

환경연구

기후변화에 따른

수산자원 변화

및 양식생물

생산적기 예측

• 기후변화 시나리오(IPCC AR5, AR6)를 연근해에 적용, 수산자원 예측

• 기후변화 영향, 연근해 주요 수산자원 미래 전망(2050년대)

_ 멸치, 고등어 서식지 및 김 생산 및 채묘 시기 예측

'2022 수산분야

기후변화 영향

및 연구 보고서'

발간

•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 해역의 영향 및 전망을 모델과 관측 결과로

비교·분석 

• 수산업의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기후변화 대응 양식기술개발 소개

• 어업 및 정책현장에 보고서 배부, 기후변화 인식 증진 및 위기의식 공유

기능성

소재개발

괭생이모자반 활용,

전복·한우 사료원료

개발

• 괭생이모자반 활용, 전복 및 한우용 사료원료 개발

• 한우용 사료원료로 활용 시 메탄가스 발생량 감소

• 2021년 하반기 해양수산부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 '장려상' 입상

붉은멍게 유래

미생물에서 찾은

신규 주름개선

소재 개발 및 사업화

• 신종 미생물이 생산하는 신규 주름개선 소재(바이오슈덴) 개발

• 피부 주름개선 기능과 미백효과로 기능성 화장품 출시 및 수출

 

수산자원

관리

융합탐지기술로

고등어와 멸치 어군의

자원량을 시공간적으로

밝히다!

• 과학어탐, 환경DNA, 연속어란채집 기술을 결합해 어군의 자원량

산정 정확도 향상

▶ 자세한 내용은 (바로가기 클릭!)

 

<자료출처: 국립수산과학원 알림마당, 2023. 2. 15.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