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그인
- 회원가입

최신의 마켓정보, 정책정보, 행사정보, 인사정보를
매주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2021년 아시아 새우 양식생산 동향은
• 소비: 소매업 등 음식업을 비롯한 시장의 성장으로 새우 수요가 증가하고
• 생산: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코로나 사태 이전으로 생산량(약 303만~309만 톤 예상)이 회복되는 등
코로나 팬데믹 2년차를 맞으며 긍정적인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물류대란으로 인해 사료비 등 원료비 증가, 폐사율 증가로 환수율이 높아지면서 에너지비 상승, 생존율 하락 등으로 생산비용 역시 증가하고 있다.
2021년 아시아 새우시장은 생산∙소비 모두 전년 대비 회복세를 보였으나, 생산비용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쿠아인포2022 무단 사용 및 배포 금지
▶ 아시아 새우 양식생산 국가별 특성
국가 | 생산 | 소비 |
중국 | • 2021년 120만 톤 생산 예상(전년 경우, 72만~86만 톤) • 수입난으로 자국 내 생산 촉진, 출하가격 상승 그러나 질병과 낮은 생존율 문제 |
• 연간 240만 톤 |
인도 | • 2021년 65만~70만 톤 생산 예상(전년 대비 5% 성장 예상) • 강우량 많았고 사이클론 두 차례 발생해 후기유생 입식에 문제 발생 + 입식 30~40일 후 WSSV 발생 등 양식하는데 애로사항 발생 • 2022년 10만 톤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 |
• 연간 약 10만 톤 |
베트남 | • 2021년 82만 톤 생산 예상 • 베트남 새우양식생산 혁신에 영향을 끼친 요소 - 양식장 혁신: 고밀도 양식시스템 도입(입식밀도: 150~500 PL/㎡) - 생산성: 100~200톤/ha • 문제점 - EMS 등 각종 질병이 지속적으로 발생 - 질병 문제 해결을 위해 환수율을 30~50%로 높이면서 에너지 비용 증가 • 새로운 도전 - 새우 색택 개선을 위한 카로테노이드 적용 - 새우 대사와 성장 증진을 위한 광기술 적용 • 2022년 생산량 목표 95만 톤 |
|
인도네시아 | • 2021년 44.5만 톤 생산 예상(전년 대비 27% 증가) • 새로운 도전 - 2024년 200만 톤 생산 계획 - 1.1만 ha 규모, ha당 40톤 생산가능한 통합새우양식시스템 개발 계획 - 고밀도양식 지원(반집약적 양식장→고밀도 양식모델 전환, 기존 양식장→조방적 못 양식장 전환) |
|
태국 | • 2021년 26.3만 톤 생산 예상(2019년 31.8만 톤 대비 현저히 감소) • 2022년 생산량 목표 30만 톤 |
• 연간 7.6만 톤 |
▶ 2022년 전망
2022년 아시아 새우 시장은 새우 소비 회복에 힘입어 생산량 증가가 예상되며, 수출도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 소비: 인플레이션과 수산물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양식수산물 소비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팬데믹의 영향을 받지 않은 고소득층 소비자의 양식수산물 소비가 증가할 뿐 아니라, 육류 및 가금류 가격 역시 세계적으로 인상되었기 때문에 새우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해져 시장 점유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생산: 새우 생산량은 팬데믹 전인 2019년도 수준을 상회할 것이며, 에콰도르와 인도에서 대미, 대EU 수출을 주도할 것이다. 에콰도르의 새우 수출량은 2022년 100만 톤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 생산비용: 사료 원료 및 에너지 비용은 사료 가격 인상에 압력을 주고 있으며, 업계는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사료 공급 격차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단백질을 모색할 것이다.
<자료출처>
• AQUA Culture Asia Pacific magazine January/February 2022 50~52p.
• 월간 아쿠아인포, 2022년 4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