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그인
- 회원가입

최신의 마켓정보, 정책정보, 행사정보, 인사정보를
매주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1월 양어용 배합사료 생산량은 7,705톤으로 전년 동월(6,379톤) 대비 20.8% 급증했다. 3년 평균(6,028톤, 2019~2021년 평균) 동월 생산량에 비해서도 27.8% 급증했다. 이 기간 넙치, 조피볼락, 돔, 기타해산어 등 해산어류용과 새우용 배합사료 생산량이 늘어나면서, 전체 배합사료 생산량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림 1. 월별 양어용 배합사료 생산량 추이 – 2019년~2022년 2월
※ 자료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배합사료생산실적, 2022년 1~2월, 그래픽: 아쿠아인포
▶ 양만용: 실뱀장어 채포 부진, 사료 사용량 감소세 지속
지난해에 이어 올해까지 극동산 실뱀장어 채포 부진이 이어지면서 양만용 배합사료 생산량은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 1월 양만용 배합사료 생산량은 3,113톤으로 전년 동월(3,688톤) 대비 15.6% 감소했다.
KMI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현재 극동산 실뱀장어 채포 부진에 따른 대체 수요로 기타품종의 입식량이 증가하고 있으나, 기타품종의 경우 성장률 저하로 양식업체의 수요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2년 연속 실뱀장어 입식량이 감소할 경우 뱀장어용 배합사료 사용량도 감소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 넙치용: 중∙대형어 육성물량 늘어 사료 사용량도 증가세 전망
지난 1월 넙치용 배합사료 생산량은 1,509톤으로 전년 동월(1,120톤) 대비 34.7% 급증했다. 3년 평균(1,404톤, 2019~2020년 평균) 동월 생산량에 비해서도 7.5% 증가했다.
표 1. 월별 넙치용 배합사료 생산량 추이 – 2019~2022년 2월
넙치용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2년 | 1,509 | 1,425 | ||||||||||
2021년 | 1,120 | 1,135 | 2,290 | 2,039 | 1,872 | 2,498 | 2,145 | 2,126 | 2,796 | 2,832 | 2,213 | 1,999 |
3년 평균 (2019~2021년) | 1,404 | 1,147 | 1,746 | 1,804 | 1,962 | 2,154 | 2,080 | 1,896 | 2,229 | 2,276 | 1,998 | 1,737 |
※ 자료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배합사료생산실적, 2022년 1~2월
KMI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지난 1월말 기준 넙치 육성물량은 9,703만 마리로 전년 동월(9,829만 마리) 대비 1.7% 감소했다. 크기별로 살펴보면, 마리당 500 g 미만 크기의 경우 전년 동월보다 감소했으나, 500 g 이상 크기는 증가했다. 특히 1 kg 이상 크기의 중∙대형어 육성물량은 지난해 주 성장시기(10~12월) 이후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어, 넙치용 배합사료 사용량도 당분간 증가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 조피볼락용: 입식의향 높아 사료 사용량 증가세 지속
지난 1월 조피볼락용 배합사료 생산량은 392톤으로 전년 동월(282톤) 대비 39% 급증했으며, 3년 평균(392톤, 2019~2020년 평균) 동월 생산량과 동일했다.
KMI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지난 1월말 기준 조피볼락 육성물량은 1억 2,305만 마리로, 전년 동월(1억 3,580만 마리) 대비 9.4% 감소했다. 지난해 종자 입식량 증가에도 불구, 당장 출하가능물량이 평년 수준을 회복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이에 올해도 양식업체의 종자 입식의향이 높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조피볼락용 배합사료 사용량도 증가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 새우용: 올해도 사료 사용량 증가 예상
지난 1월 새우용 배합사료 생산량은 338톤으로 전년 동월(112톤) 대비 3배 이상 급증했다. 3년 평균(92톤, 2019~2021년 평균) 동월 생산량에 비해서도 4배 가까이 늘었다.
표 2. 월별 새우용 배합사료 생산량 추이 – 2019~2022년 2월
새우용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2년 | 338 | 276 | ||||||||||
2021년 | 112 | 127 | 507 | 1,116 | 2,375 | 3,044 | 5,277 | 6,877 | 4,344 | 1,265 | 93 | 86 |
3년 평균 (2019~2021년) | 92 | 167 | 539 | 1,006 | 2,077 | 2,813 | 4,152 | 5,821 | 3,222 | 691 | 69 | 57 |
특히 최근 몇 년간 새우 종자 입식량 증가와 양식기술/생산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양식 방식이 다양화 되면서 지난해 새우 양식생산량이 9,545톤으로 전년(8,124톤) 대비 17.5% 증가한 바 있다. 올해도 이 같은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여 새우용 배합사료 소비량도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참고자료>
• 농림축산식품부 '2021/2022년 1~2월 배합사료 생산실적통계' (바로가기 클릭!) (바로가기 클릭!)
• KMI 수산업관측센터, 광어 수산관측 2022. 1~2월호
• KMI 수산업관측센터, 우럭 수산관측 2022. 1~2월호
• KMI 수산업관측센터, 뱀장어 수산관측 2022. 1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