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그인
- 회원가입
최신의 마켓정보, 정책정보, 행사정보, 인사정보를
매주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7월 양어용 배합사료 생산량은 2만 2,583톤으로 전년 동월(2만 2,314톤) 대비 1.2% 증가했다. 3년 평균(2만 1,386톤, 2018~2020년 평균) 동월 생산량에 비해서도 5.6% 증가했다. 이 기간 넙치용과 방어용, 새우용 배합사료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전체 배합사료 생산량 증가세를 이끌었다.
아울러 2021년 양어용 배합사료 누적 생산량은 9만 8,650톤으로 전년 동기(9만 60톤)보다 9.5% 증가했다. 이는 3년 평균(8만 6,903톤, 2018~2020년 평균)에 비해서도 13.5%나 증가한 양이다(그림 1).
그림 1. 월별 양어용 배합사료 생산량 추이 – 2018년 1월~2021년 7월
※ 자료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배합사료생산실적, 2021. 7., 그래픽: 아쿠아인포
▶ 양만용: 실뱀장어 채포 부진, 사료 생산량 감소세로 돌아서
양만용 배합사료 생산량이 올 들어 처음으로 감소세를 나타냈다. 지난 7월 양만용 배합사료 생산량은 3,608톤으로 전년 동월(3,864톤) 대비 6.6% 감소했다. 2021년 1~7월 누적 생산량은 2만 4,840톤으로 여전히 전년 동기(1만 7,152톤)보다 44.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산 실뱀장어 입식량이 증가하면서 2020년 4월 이후 배합사료 생산량이 증가세를 지속했다. 하지만 2021년산 실뱀장어 채포 부진으로 1년 미만 육성물량이 줄어들면서 배합사료 사용량도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넙치용: 상반기 종자 입식량 증가, 사료 생산량도 증가세
지난 7월 넙치용 배합사료 생산량은 2,145톤으로 전년 동월(1,888톤) 대비 13.6% 증가했다. 그러나 3년 평균(2,259톤, 2018~2020년 평균) 동월 생산량에 비해서는 5.0% 감소했다. 2021년 1~7월 누적 생산량은 1만 3,099톤으로 전년 동기(1만 1,604톤) 대비 12.9% 증가했다.
표 1. 월별 넙치용 배합사료 생산량 추이 – 2018~2021년 7월
넙치용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1년 | 1,120 | 1,135 | 2,290 | 2,039 | 1,872 | 2,498 | 2,145 | |||||
2020년 | 1,169 | 1,054 | 1,556 | 1,695 | 2,154 | 2,087 | 1,888 | 1,569 | 2,053 | 2,092 | 1,714 | 1,531 |
3년 평균 (2018~2020년) | 1,475 | 1,144 | 1,504 | 1,816 | 2,240 | 2,053 | 2,259 | 1,758 | 2,088 | 2,082 | 2,040 | 1,566 |
KMI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지난 7월말 기준 넙치 육성물량은 1억 465만 마리로 전년 동월(1억 218만 마리) 대비 2.4% 증가했다. 7월 높은 수온으로 인해 전년 동월 대비 입식량이 감소했으나, 봄철에 입식한 물량이 성장하면서 배합사료 사용량이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1년 1~7월 종자 누적 입식량은 4,337만 마리로 전년 동기(3,655만 마리) 대비 18.7% 증가했다. 7~8월의 경우 수온 상승으로 양식업체의 입식의향이 낮은 편이나,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 상반기까지 이어진 종자 입식량 증가로 인해 넙치용 배합사료 생산량은 당분간 증가세를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 조피볼락용: 종자 입식량 늘어 사료 생산량도 증가세 전환 예상
지난 7월 조피볼락용 배합사료 생산량은 1,059톤으로 전년 동월(1,129톤) 대비 6.2% 감소했다. 2021년 1~7월 누적 생산량도 4,238톤으로 전년 동기(4,969톤) 대비 14.7% 줄어들었다.
KMI 수산업관측센터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말 기준 조피볼락 육성물량은 1억 6,543만 마리로 전년 동월(1억 7,504톤) 대비 5.5% 감소했다. 하지만 2021년 최종 종자 입식량이 7,000만 마리로 전년(6,300만 마리)에 비해 11.1% 증가한데다, 평년(7,000만 마리)과도 비슷한 수준을 보임에 따라 조피볼락용 배합사료 생산량도 차츰 증가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조피볼락 종자 입식량이 증가한 것은
• 종자생산이 비교적 원활했을 뿐만 아니라
• 조피볼락 산지가격이 전년 및 평년 대비 높고
• 육성물량 또한 적어 양식업체의 입식의향이 높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새우용: 사료 생산량 전년비 증가세
지난 4월 이후 새우용 배합사료 생산량이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 7월 새우용 배합사료 생산량은 5,277톤으로 전년 동월(4,281톤) 대비 23.3% 증가했다. 3년 평균(3,816톤, 2018~2020년 평균) 동월 생산량에 비해서도 38.3% 증가했다. 2021년 1~7월 누적 생산량 또한 1만 2,559톤으로 전년 동기(1만 1,242톤) 대비 10.5% 증가했다.
표 2. 월별 새우용 배합사료 생산량 추이 – 2018~2021년 7월
새우용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1년 | 112 | 127 | 507 | 1,116 | 2,375 | 3,044 | 5,277 | |||||
2020년 | 109 | 337 | 676 | 1,047 | 1,857 | 2,937 | 4,281 | 4,355 | 2,818 | 275 | 37 | 44 |
3년 평균 (2018~2020년) | 69 | 134 | 428 | 796 | 1,589 | 2,517 | 3,816 | 5,125 | 2,331 | 309 | 51 | 42 |
※ 자료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배합사료생산실적, 2021. 7.
하지만 지난해 충남, 전남 지역에서 발생한 새우 대량 폐사에 대한 원인 규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데다, 올해 역시 새우 질병 발생으로 인한 직접적 폐사는 물론, 일부 지역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성장 정체 현상이 보고되고 있어 이 같은 영향이 향후 배합사료 생산량 증감에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참고자료>
• 농림축산식품부 '2020/2021년 7월 배합사료 생산실적통계', 2021. 8. 18. (바로가기 클릭!)
• KMI 수산업관측센터, 광어 수산관측 2021. 8월호
• KMI 수산업관측센터, 우럭 수산관측 2021. 8월호
• KMI 수산업관측센터, 뱀장어 수산관측 2021. 7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