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그인
- 회원가입

최신의 마켓정보, 정책정보, 행사정보, 인사정보를
매주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은 4월 28일 대전 유성호텔에서 '수산물 PLS제도 시행 대비 민∙관∙연 합동 워크숍'을 개최했다.
• 일시: 2023. 4. 28. / 10:00~14:30
• 장소: 대전 유성호텔 그랜드볼룸 B1
• 주제: 함께 준비하는 수산물 PLS제도, 안전한 수산물&수산용의약품
* PLS(Positive List System, PLS, 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 잔류허용기준이 미설정된 물질은 불검출 수준의 일률 기준(0.01 mg/kg)으로 관리하는 제도로, 축∙수산물은 2024년부터 시행되고 있음
이번 워크숍에는 30여 개 동물제약업체, 국내 수산생명의학 관련 대학 및 민간 연구기관 관계자 110여 명이 참석했다.
'수산물 PLS제도 시행 대비 민∙관∙연 합동 워크숍'이 4월 28일 개최됐다.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2023
▶ 주요내용
• 수산물 PLS 도입에 대한 정책 방향(해수부 담당자)
• 수산용의약품 개발을 위한 임상시험 사례 소개(박관하 교수 / 국립군산대학교)
• 수산용의약품 연구현황 및 전임상자료 기술이전 추진 사항(이지훈 연구사 / 수품원 수산방역과)
• 수산 양식현장의 수산용의약품 사용실태(심재동 회장 / 대한수산질병관리사협회)
• 임상 및 비임상 시험실시기관 지정 고시 제정(안) 주요내용(서정수 연구관 / 수품원 수산방역과)
주제발표에 이어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신규 수산용의약품 연구자료를 동물제약업체로 이전하기 위한 기술이전 협약식도 진행됐다.
* 스트렙토마이신: 넙치의 세균성 질병 치료를 위한 주사용 항생제
* 레바미졸: 조피볼락에 기생하는 요각류 기생충 구제를 위한 경구용 구충제
홍래형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장은 “오는 2024년 수산물 PLS제도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서는 양식현장에서 안전하게 사용 가능한 의약품 확보가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양식현장과 어민을 위한 수산약품 개발에 민∙관∙연이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올바른 약품 사용문화 정착으로 수산물 안전관리에도 차질이 없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자료출처: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보도자료, 2023.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