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그인
- 회원가입

최신의 마켓정보, 정책정보, 행사정보, 인사정보를
매주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국립수산과학원이 우리나라 해역의 기후변화 현황과 해양생태계와 수산업에 끼친 영향을 종합적으로 조사·분석한 '2025 해양수산분야 기후변화 영향 브리핑 북'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국립수산과학원이 '해양수산분야 기후변화 영향 브리핑 북 2025'를 발간했다.© 국립수산과학원 2025
▶ 주요 내용
⦁ 최근 57년간(1968~2024년) 전 지구의 표층 수온은 0.74℃ 상승하였으나, 우리나라 해역은 1.58℃ 상승하여 2배 이상 빠르게 증가했다.
⦁ 동해의 표층 수온 상승 폭(2.04℃)이 가장 컸으며, 이는 최근 동해로 열을 수송하는 대마난류 세력 강화와 여름철 지속적인 폭염 증가로 인한 해수면 부근의 성층 강화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 해양의 기초생산력을 나타내는 클로로필-a 농도는 2003년 이후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서해와 동해 중부 해역에서 감소 추세가 두드러졌다. 2024년 기준 기초생산력은 전년 대비 21.6% 감소해 우리 바다의 생태계 생산성 감소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 2024년에는 9월 하순까지 이어진 고수온 현상으로 1,430억 원 규모의 양식생물 피해가 발생하여,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12년 이후 최대 피해액을 기록했다. 연근해 어업생산량도 1980년대 151만 톤에서 2020년대에는 91만 톤 수준으로, '24년에는 84만 1,000톤까지 감소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수산업의 영향이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 배포: 국립수산과학원 전자도서관 누리집(https://www.nifs.go.kr/library/)을 통해 누구나 무료로 내려받아서 활용 가능
<자료출처: 국립수산과학원 공지사항, 2025. 4.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