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신청 신청 아이콘
뉴스레터를 신청하시면
최신의 마켓정보, 정책정보, 행사정보, 인사정보를
매주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1. 우측 버튼을 클릭하여 신청해 주세요. 뉴스레터 신청
2. 신청서 항목에 따라 신청자의 정보를 입력 및 체크하시면 됩니다.
3. 기타 필요사항문의
E-mail: aquainfo@aquainfo.co.kr / Tel: 02-774-7751
닫기
[NL628] [배합사료생산동향2504] 올들어 첫 증가세 전환
작성자 아쿠아인포 등록일 2025.05.27

지난 1분기 내내 감소세를 지속하던 양어용 배합사료 생산량이 4월 들어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 4월 양어용 배합사료 생산량은 1만 3,241톤으로 전년 동월(1만 2,481톤) 대비 6.1% 증가했다. 반면, 3년 평균(1만 4,802톤, 2022~2024년 평균) 동월 생산량에 비해서는 10.5% 감소했다.

 

그림 1. 월별 양어용 배합사료 생산량 추이 – 2022~2025년 4월

※ 자료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배합사료생산실적, 2025년 4월, 그래픽: 아쿠아인포

 

▶ 넙치용: 4월 종자 입식량 증가, 사료 생산량 차츰 증가 기대

지난 4월 넙치용 배합사료 생산량은 1,209톤으로 전년 동월(1,656톤) 대비 27% 감소했다. 3년 평균(2,226톤, 2022~2024년 평균) 동월 생산량에 비해서는 무려 45.7% 감소했다.

 

표 1. 월별 넙치용 배합사료 생산량 추이 – 2022~2025년 4월

넙치용 합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25년 4,565 999 1,223 1,134 1,209                
2024년 17,119 1,048 1,588 1,413 1,656 1,279 1,457 1,607 1,306 1,225 1,613 1,595 1,331
3년 평균(2022~2024년) 20,609 1,306 1,627 2,171 2,226 1,857 1,597 1,641 1,840 1,553 1,757 1,575 1,459
※ 자료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배합사료생산실적, 2025년 4월

 

KMI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지난 4월말 기준 넙치 육성물량은 6,045만 마리로 전년 동월(1억 443만 마리) 대비 42.1% 대폭 감소했다. 크기별로 살펴보면, 마리당 250 g 미만 크기는 종자 입식이 크게 늘면서 전월 대비 18.1% 증가했으나, 전년 동월에 비해서는 여전히 58.7% 감소했다. 이에 1 kg 이상 크기를 제외한 모든 육성물량(250 g 미만~1 kg)이 전년 동월 대비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 4월 넙치 종자 입식량은 1,142만 마리로 전년 동월(881만 마리) 및 평년 동월(2020~2024년) 대비 각각 29.6%, 15.4% 증가했다. 이는 종자 공급이 원활한 가운데 입식 수요도 증가했기 때문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지속적인 성어 출하로 공간이 확보된 완도 지역으로 542만 마리가 입식됐고, 다음으로 제주 지역(500만 마리) 및 기타지역(100만 마리) 순으로 집계됐다. 2025년 1~4월까지 누적 입식량은 2,031만 마리로 전년 동기(2,029만 마리)와 비슷했다. 

 

이에 넙치 육성물량 증가와 함께 배합사료 생산량도 조금씩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 조피볼락용: 종자 입식 기피, 사료 생산량 회복 쉽지 않아

지난 4월 조피볼락용 배합사료 생산량은 780톤으로 전년 동월(720톤) 대비 8.3% 증가했다. 반면, 3년 평균(958톤, 2022~2024년 평균) 동월 생산량에 비해서는 18.6% 감소했다.

 

표 2. 월별 조피볼락용 배합사료 생산량 추이 – 2022~2025년 4월

조피볼락용 합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25년 1,830 464 307 279 780                
2024년 9,009 329 446 580 720 1,044 994 1,221 825 950 879 653 366
3년 평균(2022~2024년) 9,668 349 368 565 958 915 1,033 1,098 1,031 1,211 933 761 446
※ 자료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배합사료생산실적, 2025년 4월

 

KMI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지난 4월말 기준 조피볼락 육성물량은 1억 1,485만 마리로, 전년 동월(1억 1,961만 마리) 대비 4% 감소했다.

 

오는 5~7월 종자 입식시기를 앞두고 있는 조피볼락은 4월 출하량이 전월 대비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5월도 양식업체의 출하의향이 높은 가운데, 가정의 달 수요도 있을 것으로 보여 출하량 증가가 예상된다. 하지만 조피볼락은 저∙고수온기 잦은 폐사와 소비 부진 등으로 양식업체의 입식의향이 예전 같지 않아 배합사료 생산량 증가를 기대하기는 힘들 전망이다.

 

▶ 새우용: 사료 생산량, 전년비 두 배 ↑

지난 4월 새우용 배합사료 생산량은 2,708톤으로 전년 동월(1,290톤) 대비 무려 두 배 이상 급증했다. 3년 평균(1,907, 2022~2024년 평균) 동월 생산량에 비해서도 42% 증가했다.

 

지난해 새우용 배합사료 생산량이 2만 6,296톤으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큰 폭의 증가세를 기록함에 따라 전년보다 이른 시기에 배합사료 생산이 본격 시작된 것으로 짐작된다.

 

표 3. 월별 새우용 배합사료 생산량 추이 – 2022~2025년 4월

새우용 합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25년 5,391 220 541 1,922 2,708                
2024년 26,296 85 407 632 1,290 2,503 3,569 6,543 7,449 3,303 339 123 52
3년 평균(2022~2024년) 23,553 282 555 1,081 1,907 2,720 3,754 5,083 5,326 2,433 237 93 82
※ 자료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배합사료생산실적, 2025년 4월

 

다만,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평균 수온이 6.8℃로, 지난해 같은 기간(7.8℃)보다 1℃ 낮아 새우의 본격적인 입식 시기가 다소 늦춰지고 있다. 특히 어린 새우는 수온 등 환경변화에 민감하고 질병에도 취약해 입식 초기 어린 새우의 질병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올해 역시 새우 급성간췌장괴사병(AHPND) 등 각종 질병 발생 여부가 새우 양식생산량은 물론, 새우용 배합사료 생산량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자료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2024/2025년 4월 배합사료 생산실적통계'  (바로가기 클릭!) 

• KMI 수산업관측센터, 광어 수산관측 2025. 5월호

• KMI 수산업관측센터, 우럭 수산관측 2025. 5월호

• 국립수산과학원 보도자료, 2025. 5.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