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그인
- 회원가입
뉴스레터 신청

뉴스레터를 신청하시면
최신의 마켓정보, 정책정보, 행사정보, 인사정보를
매주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최신의 마켓정보, 정책정보, 행사정보, 인사정보를
매주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NL615] 넙치 표준유도체 지도 등 ‘2024년 우수성과’ 발표 – 수과원
작성자 아쿠아인포
등록일 2025.02.24

국립수산과학원은 넙치 표준유전체 지도 완성과 대문어 시험양식 등 지난 한 해 동안 수산업 발전과 현장 애로 해결에 기여한 '2024년 우수성과'를 발표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넙치 표준유전체 지도 완성과 대문어 시험양식 등 '2024년 우수성과'를 발표했다. ©국립수산과학원2025
▶ 2024년 우수성과 – 국립수산과학원
분류 | 연구과제 | 연구내용 및 기대효과 |
양식기술 개발 |
세계 최고 수준의 넙치 표준유전체 지도 완성 |
• 세계 최고 수준의 넙치 표준유전체 지도 완성 • 한국 넙치 표준유전체 기반의 넙치 유전체 선발육종 연구 수행 가능 => 다형질(속성장·내병성·환경내성) 우량품종의 신속 개발로 양식업체 소득 증대 기여 |
국내 최초 어린 대문어 시험양식 성공 |
• 국내 최초 대문어 유생 300일 이상 사육 성공 • 유생 성장단계별 행동 특성 파악을 통한 사육환경 및 사육관리 개선 => 동해 특산품종 양식기술개발 기반 마련 및 고부가가치 미래 전략 양식품종으로 육성 기대 |
|
질병진단 기술개발 |
세계 최초 동물질병 진단 표준물질 개발 및 국제지위 획득 |
• 동물질병 진단 표준물질 구축 기술개발 • 세계 최초 '동물질병 진단 표준물질' WOAH 협력센터 지정 => 우리나라 진단 표준물질을 전 세계가 활용함으로써 수출·입 검·방역 비용 절감 및 국가별, 기관별 정확하고 동일한 진단 결과 도출로 분쟁 해결 |
AI활용 기술개발 |
수산과학연구분야 인공지능(AI) 기술 날개를 달고 날아오르다! |
• 참조기 측정 빅데이터(체장·체중, 성숙도 등)를 인공지능에 학습시켜, AI가 성숙단계를 독자적으로 판별하고 성숙체장 추정 가능 • AI활용 개체굴 등급판정을 위한 비만도 평가방법 개발 • 24시간 해양포유류 종식별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AI 종식별 서비스 실시 => AI 모델 활용을 통한 업무 효율화로 인력·예산·시간 경감 효과 및 서비스 만족도 제고 |
가공기술 개발 |
토종 용다시마의 부활, 블루푸드로 거듭나다! |
• 용다시마 소비 활성화 방안 마련 • 용다시마 변비개선 제품 출시 및 업무협약 체결 => 토종 해조류 복원을 통한 환경·생물학적 가치, 연구결과의 산업화를 통한 경제적 가치, 국민건강 증진의 공익적 가치 등 다양한 사회적 가치 창출 |
수산 유산균 활용 장 건강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개발 |
• 수산물 유래 기능성 유산균 2종(락토코커스, 와이셀라) 확보 • 미생물 유전체 해독·분석 등을 통한 균주 안전성 입증 • 유산균 산업화 배양 조건 및 단독·복합 면역증진 효과 구명 • 수산 유산균 활용 장 건강 개선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출시·판매 => 민간기업 협업을 통한 수산물 유래 유산균 제품화로 국민건강 증진 기여 |
|
환경연구 | 해양환경 환경오염물질 분석 기술개발 및 공정시험기준 등재 |
• 국립수산과학원은 UNEP 협약 이행을 위해 해양환경 POPs 조사·분석 • 국제협약 신규 오염물질 2종(브롬계난연제, 과불화화합물) 분석법 개발 => 2024년 제10회 해양수산과학기술대상 우수학술 부문 '우수상' 수상 => 국가 표준 분석법 개발 및 공정시험기준 등재로 어장환경 안전성 확보 |
수산자원 관리 |
원양어업 대표어종인 이빨고기 신규 어장 과학조사 쿼터확보 |
• 한국 단독으로 시험조업계획서가 과학위원회 권고를 통해 아시아 국가로는 처음으로 이빨고기 신규 어장 개척에 따른 조업 예정 • 기존 수행해 온 88.3해구에서 과학적 기여 지속 및 신규 어장에 대한 국제공동과학조사 계획서 추가 승인 => 신규 원양어장 개척에 따른 어획쿼터 532톤 확보 및 국제수산관리 기구에 과학적 기여 |
어업기술 개발 |
해양포유류 혼획저감 연구로 수출도 지키고, 고래도 살리고! |
• 주요 5개 어업의 해양포유류 혼획저감 어구 개발 • 연구결과의 국제적 인정 등을 통한 美측의 MMPA 압박 대응 => 연구성과 기반의 MMPA 대응으로 안강망 등 면제어업(미국 수출가능) 분류 기대 |
▶ 자세한 내용은 (바로가기 클릭!)
<자료출처: 국립수산과학원 알림마당, 2025. 2. 19.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