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그인
- 회원가입
뉴스레터 신청

뉴스레터를 신청하시면
최신의 마켓정보, 정책정보, 행사정보, 인사정보를
매주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최신의 마켓정보, 정책정보, 행사정보, 인사정보를
매주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2023 세계어촌대회’ 개최 예정, 어촌 도전과제 해결방안 모색 - KMI
작성자 아쿠아인포
등록일 2023.09.11

'2023 세계어촌대회'가 9월 19일부터 21일까지 부산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 일시: 2023. 9. 19~21.
• 장소: 부산항 국제전시컨벤션센터 5층
• 주제: 하나의 바다, 하나의 어촌: 미래를 향한 전환과 대항해
• 주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주관: 2023 세계어촌대회 사무국
• 공식언어: 영어, 한국어(동시통역)
이번 행사는 세계 어촌이 직면한 여러 가지 도전과제의 공동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어촌의 새로운 미래비전과 지속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열린다.
'2023 세계어촌대회'가 9월 19~21일까지 부산항 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23
프로그램
날짜 | 행사내용 | 세부내용 |
2023. 9. 19. | 환영행사 | ▶ 주요 참석자 환영인사 |
▶ 참석자 간 네트워킹 | ||
2023. 9. 20. | 개막행사 | ▶ 개막식 |
▶ 기조강연 | ||
• 100% Fish - Growing the blue economy in smaller communities | ||
_ 소르 시그푸손 설립자 / 아이슬란드 해양 클러스터 | ||
• Blue Transformation | ||
_ 마뉴엘 바랑지 어업양식국장 / FAO | ||
▶ 세계어촌대회 창설 전문가 대담회 | ||
2023. 9. 21. | 학술행사 | ▶ 세션1. 공동체: 어촌공동체에 직면한 전환시대의 도전과 과제 |
▶ 세션2. 청년&여성어업인: 어촌사회 변화와 혁신을 이끄는 청년∙여성어업인 사례와 역할 강화 방안 | ||
▶ 세션3. 어업&양식: 소규모 어업의 미래 지속가능성을 위한 어업과 양식의 도전과제 | ||
• 좌장: 조정희 학회장 / 한국수산경영학회 | ||
• 발제1.미래를 위한 어업: 캐나다의 소규모 어업의 역할과 관리 | ||
_ 김홍식 박사과정 /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 ||
• 발제2. 급변하는 세계 속 중국 해양수산: 현황과 보존 | ||
_ 윤롱 첸 연구원 / 중국수산과학원 황해수산연구소 | ||
• 발제3. 양식기술 발전 방향 | ||
_ 마창모 본부장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
• 발제4. 미정 | ||
_ 가쿠시 이시무라 총괄책임자 / 이와테 대학교 농업학부 | ||
• 발제5.소규모 어업의 미래 지속가능성을 위한 어업과 양식의 도전과제 | ||
_ 조석현 대표 / 블루오션영어조합법인 | ||
• 토론자 | ||
_ 다니엘 코리 호주수산관리청 전략 모니터링 및 평가 프로그램 매니저 / 호주수산관리청 | ||
_ 아메드 사이드 국장 / 국립해양연구원 | ||
_ 이정삼 연구위원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연구본부-수산경영∙자원연구실 | ||
_ 김도훈 교수 / 부경대학교 해양수산경영학 | ||
_ 김종현 부장 / 국립수산과학원 양식산업연구부 | ||
▶ 세션4. 청색어항: 어항의 사회∙경제∙환경적 미래가치 창출 사례와 전환을 위한 과제 | ||
▶ 세션5. 어업분야 산업재해: 어업인 업무상 안전∙건강 개선 우수사례와 선제적 예방을 위한 과제 | ||
▶ 세션6. 국가 간 협력∙연대: 국가 간 협력∙연대 사례와 어촌분야 글로벌 상생 강화를 위한 노력 | ||
▶ 세션7. 기후변화&재난안전: 기후변화와 재난 취약성에 대응한 어촌 정주여건 개선과 대응과제 | ||
▶ 세션8. 스마트 어촌: 첨단기술과 어촌사회 혁신의 스마트 어촌 우수사례와 확산 방안 | ||
▶ 세션9. 어업유산: 어업유산 발굴과 활용을 통한 지속가능한 어촌개발 | ||
▶ 세션10. 어촌관광: 어촌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공동체 기반 관광 활성화 전략과 과제 |